CheatSheet(4)
-
NCP Global DNS: 도메인 구매 및 SSL 적용
업무수행을 위해 ncp에 서버를 배포하여 도메인을 지정하고, ssl을 적용해야할 일이 생겼습니다. 단순 블로깅으로도 충분히 진행이 가능하지만, 이렇게 업무를 진행하면 금방 잊어먹을 수 있으므로 글로 정리하여 되새김질을 해볼까 합니다. 도메인 사전적 의미로 영역이지만, 사실 이 도메인이라는 단어는 종사하는 직종에 따라 매우 달라집니다. 해당 도메인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글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여기서 도메인은 '서비스 제공자의 영역'입니다. 서비스의 구조에 따라 이 영역을 이루는 서버는 단 하나일수도 있고, 여러개일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DNS라는 서비스를 통해 지정된 웹 url을 통해 접근합니다. SSL(Secure Sockets Layer) pki 기반의 보안 소켓 계층..
2023.12.07 -
오픈소스 라이센스의 종류과 적용범위
오픈소스를 살펴보면 누구나, 가져다가 사용해볼 수 있고 원한다면 기여도 해볼 수 있다. 이러한 오픈소스는 학습 목적으로는 상관없지만, 회사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상용으로 활용하려는 순간 주의해야할 부분이 몇개 있는 듯 하여, 생각날때마다 보려고 이렇게 글로 정리해본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는 소프트웨어를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권한을 규정하는 계약을 일컫는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상용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이다. 대표적으로 윈도우 OS, 오피스 스위트, 어도비의 포토샵 오라클 등이 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누구나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는 라이센스다. 대표적으로는 G..
2023.05.15 -
[SpringBoot/RestDocs] Kotlin/Spring boot 3.0.4 환경에서 restDocs 구성하기
일일이 읽으면서 파악하기 귀찮으신 분들은 바로 맨 아래 '5. restDocs Gradle cheatSheet'를 참고하세요. SpringBoot는 편리함을 목적으로 Spring initializer를 활용한다. 2.x.x 시절에 Java/Spring 환경에서 작업할 때는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SpringBoot 3.0.0+Kotlin으로 갈아타는 순간부터, Spring initializer가 기본적으로 해주는 설정에 뭔가 하나씩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Rest Docs도 그 중 하나였고 삽질을 너무 중구난방으로 하여, 한번 정리할 목적으로 이 글을 작성해 본다. 1. gradle의 plugins 정리하기 시작부터 build.gradle.kts에 빨간 줄이 그어진다... 왜냐면, 이니셜라이져가 설..
2023.03.22 -
Spring Boot + Keycloak server
기존 레퍼런스들은 WildFly에 의해 동작하는 Keycloak Server를 기준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19.0.3 버전 이래로, WildFly는 keycloak server를 지원하지 않아 DEPRECATE 처리되었다. 그래서, Quarkus가 제공하는 keycloak server를 사용 해야하는데, GUI 구성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빌드과정 까지 달라진 부분이 많아서, 해당 내용들을 종합하고 정리하여, 다음 작업때는 덜 헤메고자 한다. Requirements jdk 11+ (17 recommended) Index keycloak server 다운로드 keycloak bin configuration keycloak realms 생성 keycloak client 생성 keycloak client..
2022.10.24